얼마전 서울시민프로축구단을 창단발표가 있었다. 그렇다면 내년엔 서울 더비를 만날 수 있는것인가? EPL의 "맨체스터 더비" 세리에A의 "밀란 더비"와 같은 흥행 보증수표 더비전이 K리그에서도 실현될 확률이 높아졌다. FC서울은 상암을 홈구장으로 서울의 서북쪽에 위치하고, 서울시민프로축구단은 잠실을 홈구장으로 서울의 동남쪽에 위치하게 된다면 강남VS강북 구도의 경쟁의식과 지역적인 균형이 맞게되고, 여지것 소외되었던 강남쪽의 축구팬들은 자신들의 클럽이 생기기 때문에 쌍수를 들고 환영할 것이다. 그렇다면 K리그가 16구단 체제로 확장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 라운드당 쉬는 클럽이 없어진다. 2009 K리그는 라운드당 7경기를 치룬다. 한 경기에 홈팀과 어웨이 팀이 경기를 진행하니 총 14개 구단이 실제 경..
제목 그대로다. K리그 경기에서 어웨이팀의 선수들은 왜 전부 어웨이 유니폼만 입고 있나? "어웨이 경기니깐 어웨이 유니폼을 입는게 당연하지." 라고 말할 수 있지만, 축구에선 홈 유니폼, 어웨이 유니폼이 아니라 주 유니폼, 보조 유니폼이 더 정확하다. 홈팀과 어웨이팀의 주유니폼의 색깔이 동일하거나 비슷하지 않는데 왜 어웨이팀은 보조유니폼을 착용하는가? 2009K리그14R 수원-성남전(수원월드컵) 지난 14라운드 경기 중 수원홈에서 성남과 맞선 경기를 보자. 주유니폼 색은 각각 수원은 푸른색 성남은 노란색인데, 수원은 푸른색 주 유니폼을 성남은 하얀색 보조 유니폼을 착용한다. 성남이 주유니폼을 착용해도 수원과 구별하는데 문제 없는데 왜 보조유니폼을 착용했을까? 대진(장소) 홈팀 유니폼 어웨이팀 유니폼 광주..
임베디드 리눅스 공부를 위해 책을 하나 샀다. 영어로 된 원서는 해석하는데 오래걸리고 정확하게 이해하기 힘들어서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우리나라에서 번역한 책이 있었다. 그래서 바로 결제!! 근데 이책은 찾는 사람이 많이 없는지 인터넷 배송은 일주일이나 걸린단다. 그래서 인터넷 교보문고의 바로드림 서비스를 이용했다. 교보문고에 직접 가보니 운좋게 책이 딱 한권있었다. 책도 날 선택하는군 ㅋㅋ 책을 읽어보니 내용도 꽤 좋았고 내가 직접 해석하는 것 보다 시간을 아낄 수 있어서 좋았다. 저자 : 크리스토퍼 할리난(Christopher Hallinan) 강덕진 옮김
- Total
- Today
- Yesterday